조 의원은 지난 3월 경북 5개 시·군에서 발생한 역대 최대 규모 산불을 언급하며, “건조한 기후와 강풍, 지형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149시간 만에 진화된 이 산불은 총 30명이 숨지고 45명이 다쳤으며, 서울 면적의 80%에 달하는 피해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당시 초기 탐지와 확산 경로 예측의 기술적 한계가 피해를 키웠다는 분석이 많다”며 “AI가 CCTV, 위성 영상, 기상 데이터 등을 종합 분석해 조기에 경보를 발령하고 대응할 수 있었다면 피해 규모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 의원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사례를 들어, 드론과 AI 시스템이 실제 산불 대응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설명했다. 그는 “AI가 1,000대 이상의 카메라에서 데이터를 수집해 조기 감지하고, 드론이 열화상으로 불길의 위치를 파악해 자원을 배분하는 체계를 갖췄다”며 “일부 산불은 911 신고보다 AI가 먼저 감지해 초기 진화에 성공했다”고 말했다.
천안시의 현황과 관련해 조 의원은 “천안은 충남에서 네 번째로 산림면적이 넓고, 2023년 한 해 동안 7건의 산불로 1.74ha의 피해가 발생했지만, 대응 체계는 여전히 인력 중심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천안시에는 산불감시용 CCTV 14대와 드론감시단이 존재하지만, 실질적인 무인 탐지·대응 시스템과는 거리가 멀다”며 “야간이나 인적이 드문 지역에서 초기 대응이 어려운 현실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조 의원은 “2025년 산불 관련 예산 21억 원 중 약 60%가 인건비에 집중돼 있고, 드론이나 AI 시스템과 같은 기술적 대응에는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며 “해외 우수사례를 참고해 단계적으로 시스템 전환을 검토하고 예산 확보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조 의원은 “산불은 자연재해지만, 그 대응은 인간의 선택과 시스템에 달려 있다”며 “앞으로는 사람을 위험에 내모는 방식이 아니라, 기술이 앞장서는 안전한 대응체계를 천안시가 선도적으로 마련하길 기대한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 <저작권자 ⓒ 뉴스충청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