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데스크 칼럼] 전략공천과 경선 “신중하게 결정해야”

김수환 기자 | 기사입력 2018/03/18 [22:46]

[데스크 칼럼] 전략공천과 경선 “신중하게 결정해야”

김수환 기자 | 입력 : 2018/03/18 [22:46]

선거철마다 나오는 단어중 하나가 지역 경선과 낙하산 공천 형태의 전략공천이다.

 

두가지 형태 모두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경선은 지역별로 일부 시행되어 오던 중 김대중 대통령 말기에 민주당이 소위 잠룡으로 불리던 9명을 대상으로 공개경쟁을 시킨데서 크게 확산됐다. 

당시 9명의 주자 가운데 가장 유력했던 후보는 이인제 전 의원이다.

 

이인제 전 의원은 대통령 후보에서 이회창 전 총리에게 밀리자 신한국당서 탈당해 국민신당을 창당, 대통령 선거에 참여해 김대중, 이회창 후보에 이어 3등을 차지한 바 있다.

 

이후 새천년민주당에 입당하고 대통령 경선에 나섰다. 당시 ‘대세론’으로 무장하고 대통령 경선에 나섰지만 ‘대안론’을 들고 나온 노무현 후보에게 밀리자 중도 사퇴했다.

 

새천년 민주당은 이 경선을 통해 국민적인 관심을 끌었다. 지역별 순회 경선을 통해 주말이면 국민들의 이목을 정치로 몰입시켰다. 결국 이 경선에서 전국적인 인물로 부각된 노무현 후보는 또 다시 보수진영의 대통령 후보였던 이회창 전 총리를 누르고 대통령이 되었다.

 

이후부터 경선은 민주당의 유력한 후보 선출 방식이 됐고 점차 선거마다 경선이 치러지는 틀을 마련했다.

 

전략공천이란 말은 상대편 정당의 유력한 당선 후보와의 경쟁을 위해 다른 지역구 또는 새롭게 영입한 유력 인사를 해당 지역구에 공천하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전략공천은 ‘지역감정 해소, 동서화합을 위한 조치’라며 평화민주당 김대중 총재가 경북 칠곡 출신으로 호남에 아무 연고도 없는 영남 출신 이수인 교수를 전남 함평-영광군 국회의원 보궐선거 내보낸 것이다. 허수아비도 민주당 어깨띠만 두르면 당선된다는 말을 실감케 하는 공천이었다.

 

보통 공천은 공천심사나 경선을 거쳐 선거에 나갈 후보를 선출하지만, 전략공천은 당 지도부가 임의로 공천 대상을 선정한다. 이런 이유로 지역의 민의와 동떨어진 인물이 나설 수도 있다.

 

전략공천은 당선 여부와 관계없이 이뤄지기도 한다. 순간순간 해당 사건에 대응해서 공천을 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민주당과 자유한국당에서 6.13 동시 선거를 앞두고 전략공천이란 말이 부쩍 나오고 있다. 광역단체장과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를 치르는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전략공천은 지역과 아무런 연관도 없는 후보를 공천하거나 기존 공천자들을 배제하는 것이므로 해당 지역구민 및 당원들의 여론이 배제된다는 비판이 거세다.

 

특히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선거를 동시에 치러지는 천안지역과 같은 지역에서 전략공천이 실패할 경우 국회의원 선거는 물론 광역단체장과 시장, 그리고 광역의원과 지역의원 선거 등 모든 선거가 엉망이 될 수 있어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